• Home
  • 사업분야
  • 이차전지소재

이차전지소재

세계 최고의 프리미엄 제품과 기술로
새로운 미래를 열어나갑니다.

이차전지소재 Battery Materials

이차전지는 리튬(Li) 이온이 양극(+)과 음극(-) 사이를 이동하면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원리로 작동합니다. 충전을 통해 여러 차례 재사용이 가능하여 전기차(EV)를 비롯한 모빌리티, IT기기와 다양한 생활가전의 에너지원으로 쓰입니다.

이차전지는 양극재, 음극재, 전해액, 분리막의 4대 요소로 이루어지며, 포스코퓨처엠은 가장 중요한 핵심소재인 양극재와 음극재를 생산해 글로벌 시장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포스코퓨처엠은 국내 유일 양•음극재 동시생산 및 연구역량을 바탕으로 양산능력 확대, 원료 밸류체인 완성, 차세대 소재 R&D를 통해 글로벌 시장 톱티어로 성장해 나가고자 합니다.

충전: 양극(+)에 있던 리튬이온(Li+)이 음극(-)으로, 방전: 음극(-)에 있던 리튬이온(Li+)이 양극(+)으로 이동
전기차를 충전하고 있는 모습

전기차를 충전하고 있는 모습

양극재
양극재는 배터리의 (+)극, 즉 양극을 이루는 소재를 말하며 리튬이온배터리에서 리튬소스 역할을 하는 에너지원으로 용량과 평균 전압을 결정합니다.
포스코퓨처엠은 전기차에 주로 사용되는 하이니켈 NCM(니켈, 코발트, 망간) 양극재를 생산하고 있으며 여기에 알루미늄을 더해 열안정성을 높인 NCMA 양극재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포스코퓨처엠은 전기차 시장의 성장에 따라 글로벌 양산능력을 더욱 확대할 계획입니다.
  • 하이니켈 양극재

    하이니켈 양극재

  • 광양 양극재 공장 생산라인

    광양 양극재 공장 생산라인

양극재
제품군 특성 주요 사용처
양극재 NCM-6x - 양극재(니켈 약 60%, 코발트, 망간 조성)
- 높은 안정성, 충방전시 가스 발생 최소화
전기차(EV)
NCM-8x - 하이니켈 양극재(니켈 약 80%, 코발트, 망간 조성)
- 고용량, 높은 열안정성, 낮은 저항성
전기차(EV)
IT 디바이스(휴대폰, 태블릿, 노트북 등)
전동기계(PT)
NCMA - 하이니켈 양극재(니켈 약 80%, 코발트, 망간, 알루미늄 조성)
- 고용량, 높은 열안정성, 낮은 저항성
전기차(EV)
전동기계(PT)
NCA - 하이니켈 양극재(니켈 약 80%, 코발트, 알루미늄 조성)
- 고용량, 높은 열안정성, 낮은 저항성
전기차(EV)
전동기계(PT)
전구체
니켈(Ni), 코발트(Co), 망간(Mn), 알루미늄(Al) 등의 다양한 메탈로 구성되는 양극재의 전(前) 물질로 이차전지의 특성을 결정하며 리튬과 결합하여 양극재가 완성됩니다.

원료별 비중에 따라 가격과 특성이 다양해지는만큼 최적의 조합을 위한 구성을 연구하고 있으며, 포스코퓨처엠은 안정적인 소재 생산을 위해 전구체 내재화율을 지속적으로 높여갈 계획입니다.
  • 전구체

    전구체

  • 전구체 생산라인

    전구체 생산라인

양극재·전구체 공장

광양 양극재 공장

  • 생산능력 : 90천 톤/연
  • ※ ’25년 52.5천 톤/연 규모의 공장 추가 준공 예정
  • 전구체 : 45천 톤/연
  • 위치 : 광양시 율촌산단

포항 양극재 공장

  • 생산능력 : 60천 톤/연
    (’25년 106천 톤/연으로 단계적 증설)
  • 위치 : 포항시 영일만산단

중국 퉁샹시 (절강포화/절강화포)

  • 생산능력 : 양극재 25천 톤/연
    전구체 35천 톤/연
  • 위치 : 중국 절강성 퉁샹시

캐나다 퀘백 (얼티엄캠)

  • 생산능력 : 양극재 (1단계 30천 톤/연 규모로 준공 후 2단계 63천 톤/연으로 단계적 증설 예정)
    전구체 (2단계 추진시 45천 톤/연 규모로 준공 예정
  • 위치 : 캐나다 퀘백주 베껑꾸흐(Bécancour)
음극재
리튬이온을 저장했다가 방출하면서 외부회로를 통해 전류를 흐르게 하는 역할을 하며 이차전지의 충전 속도와 수명을 결정합니다.
포스코퓨처엠은 천연흑연 및 저팽창 음극재를 개발하여 공급하고 있으며, 인조흑연과 실리콘계, 리튬메탈 등의 차세대 소재를 개발함으로써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포스코퓨처엠이 생산하는 음극재는 반복적인 충전과 방전 과정에서도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하는 우수한 성능을 발휘합니다.
  • 천연흑연 음극재

    천연흑연 음극재

  • 음극재 세종공장 생산 라인

    음극재 세종공장 생산 라인

음극재
제품군 특성 주요 사용처
음극재 천연흑연 음극재 - 천연흑연을 원료로 제조
- 높은 전도율, 고출력, 장수명
전기차(EV)
IT 디바이스(휴대폰, 태블릿, 노트북 등)
전동기계(PT)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인조흑연 음극재 - 코크스를 원료로 제조
- 입자 형상 제어 및 표면처리를 통한 고출력, 장수명
전기차(EV)
음극재 공장

(천연흑연) 세종 음극재 1공장

  • 생산능력 : 26천 톤/연
  • 위치 : 세종시 전의산단

(천연흑연) 세종 음극재 2공장

  • 생산능력 : 48천 톤/연
  • 위치 : 세종시 첨단산단

(인조흑연) 포항 음극재 공장

  • 생산능력 : 8천 톤/연 (1.3만 톤/연으로 증설 예정)
  • 위치 : 포항 블루밸리 국가산업단지
포스코퓨처엠의 기술개발 현황
포스코퓨처엠은 지난 3월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인터배터리 2025에서 더 멀리 이동하고, 더 빠르게 충전하고, 더 저렴한 전기차를 위한 양·음극재 기술 로드맵과 원료-소재-리사이클링에 이르는 그룹 차원의 공급망 구축 성과를 소개했습니다.
포스코퓨처엠 양•음극재 주요 기술개발 현황
구분 제품 내용
양극재 Low Cost 망간리치(LMR) - 니켈•코발트 비중을 낮추고 망간 비중을 높여 가격경쟁력과 안정성을 높임
- 리사이클링 고려시 LFP 대비 가격 유사한 수준이지만, 에너지밀도 +30% 구현 가능
리튬망간인산철(LMFP) - LFP에 망간을 추가해 가격은 LFP와 비슷한 수준이나 에너지밀도는 15~20% 높음
리튬인산철(LFP) - 리튬 인산철 원료로 가격경쟁력과 안정성이 높아 최근 사용량 증가 추세 (엔트리급 EV/ESS활용)
Standard 고전압 미드니켈 단결정 - 니켈 비중은 낮으나(60% 내외) 전압을 높여 에너지밀도를 최대화(고주행거리 가능)
Premium 울트라 하이니켈 단결정 - 니켈 비중 95% 이상의 단결정 제품으로 전기차 주행거리를 극대화하고 안정성을 높인 프리미엄 제품
음극재 천연흑연 급속충전 저팽창 - 독자개발한 저팽창 천연흑연 음극재의 성능 개선을 통해 충전 시간을 기존 대비 30% 단축
인조흑연 고밀도 인조흑연 - 음극재에 폐미분을 추가해 더욱 치밀한 입자구조를 구현, 용량을 높이고 충전시간을 기존 대비 15% 감축
실리콘 실리콘탄소복합체(Si-C) - 흑연계 음극재 대비 저장용량이 약 5배 높아 전기차 주행거리 확대 및 급속충전 가능